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동판매기
- 무인유통기기
- 무인독서실
- 스터디카페
- 자동판매기 역사
- 무인결제시스템
- 티피오스전기이발기
- 휴대용ATM기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무인편의점
- 무인스터디카페
- 멀티자판기
- 프랜차이즈창업박람회
- 언택트
- 중소기업벤처부
- 음료자판기운영업
- 키오스크
- 피페이
- 전기이발기
- 유앤아이스터디카페
- P-PAY
- 자판기 운영방법
- 독서실무인화
- 무인점포
- 스터디카페창업
- 생계형적합업종
- 무인시스템
- KOVA
- 벤딩인더스트리
- 자동판매기 운영업
- Today
- Total
eCHINGu
협동로봇 RB5로 무인유통분야 진출 본문
세상을 놀라게 하는 획기적인 자판기를 만들고 싶나요?
(주)레인보우로보틱스, 협동로봇 RB5를 활용한 무인유통 분야 확산 나서
무인유통을 구현하는 수단이 자판기로 한정이 되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AI기술과 로봇기술까지 활용해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무인유통 영역을 만들어 내는 시대이다. 국내에는 로봇 팔을 활용한 로봇바리스타가 본격적으로 사업영역을 열어가고 있고, 해외에서는 로봇 수준의 제빵자판기나 아이스크림자판기가 등장을 하고 있다.
로봇 팔을 활용하는 협동로봇 시스템은 무인유통을 다양화하기에 좋은 수단이다. 국내에는 이런 협동로봇 시스템을 국산화하여 뛰어난 기술력과 경쟁력을 구비한 업체가 있다. (주)레인보우로보틱스(대표: 이정호)를 통해 협동로봇이 무인유통의 어떤 새로운 흐름을 선도할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
뛰어난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으로 무장한 협동로봇 RB5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카이스트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2011년 창업한 벤처기업이다. 센터에서 개발한 한국 최초의 이족 보행 로봇인 HIBO를 상업화하기위해 설립이 되었다. HUBO는 한국 로봇 기술을 대표하는 인간형 로봇 중 하나이다. KAIST 연구진으로부터 2002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이 시작되어 HUBO(2004), Albert HUBO(2006), HUBO2(2009), DRC-HUBO(2015) 등 지속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킨 다양한 휴보 시리즈가 개발되었다. HUBO는 Google, MIT, 미 해군연구소, 서울대학교 등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에 판매되었으며,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로봇 플랫폼이다.
HUBO의 기술을 녹여낸 게 협동로봇 'RB5'이다. 로봇은 협동로봇이 나오기 전에는 산업용 로봇이 중심이었다. 20여년 전 부터 도입이 되기 시작한 산업용 로봇은 사람이 못 들어가는 곳에서 무인으로 일을 수행해 낸다. 반면, 새로운 기술발전과 함께 등장한 협동로봇은 인간과 협업을 하는 로봇이다. 즉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위험하거나 단순한 일들을 주로 행한다.
특히 협동로봇은 인간과 협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을 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 인건비가 크게 올라가는 현실에서 단순한 일은 협동로봇으로 대체하는 게 생산성이 높다. 협동로봇은 팔에 해당하는 부위가 기술의 핵심이다. 이를 활용하면 다양한 분야의 적용이 가능하다. 현재 사업화가 가장 적극적으로 진행되는 로봇바리스타, 로봇카페가 대표적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RB5'는 정교한 모터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성능을 구현한 제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무엇보다 모터, 센서, 제어기, S/W에 이르는 로봇의 모든 핵심부품을 직접 개발하여 가격경쟁력이 뛰어나나는 게 장점이다. 타사 협동로봇을 도입한 무인 바리스타의 경우 가격대가 너무 비싸 시장에서 폭넓게 상용화되기에는 시간이 좀 걸린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합리적인 가격대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제품이 앞으로 폭넓은 분야에 도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뛰어난 기술을 바탕으로 높은 서비스 경쟁력도 장점이다. 고객의 요청사항, 개선요구 등에 대해 하드웨어에서부터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가장 빠르고 정확한 업데이트를 실천한다. 구체적으로 RB5의 특징을 살펴보면 구동기, 구동제어기, 엔코더, 브레이크 등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핵심부품을 적용하였으며, 5kg의 가반하중을 가지고 있다. 6축 직렬 다좐절 형태인 RB5의 유효 작업반경은 850mm이며, 종단 이송속도는 1m/s이다. 반복 정밀도는 0.1mm이하이며 함께 제공되는 제어반(Digital IO 32Ch, Analog IO 8 C?H, Ethernet, RS-485/422)을 통해 다양한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하며, 말단 장치를 위해 종단에 별도의 인터페이스 (DID 4 Ch, Analog IN 2 Ch, RS-485, 12/24V)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직접 교시를 통한 손쉬운 사용 ▷말단위치의 SNAP 기능 ▷특이점 회피기능 ▷자가충돌(Self Collision) 방지기능 등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바리스타 로봇과 칵테일 로봇으로 사업화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뛰어난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RB5의 협동로봇을 활용해 무인유통 분야의 사업화를 넓혀갈 예정이다. RB5의 협동로봇의 적용분야는 우선 바리스타 로봇이다. 협동로봇과 결합하여 주문부터 제조, 음료제공의 단계까지 바리스타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직접 커피를 만든다. 현재 탐앤탐스와 함께 로봇 바리스타 개발협력을 하고 있어 조만간 선을 보이게 된다.
칵테일 로봇 분야에도 사업확대에 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칵테일 로봇은 다양한 사람들의 기호에 맞춰 자신들의 원하는 칵테일을 고르면 그에 맞춰 즉시 제조해 주는 로봇이다. 칵테일 제조를 직접 손님들에게 보여줌으로써 퍼포먼스 효과가 크다. 현재 이 칵테일 로봇은 결제장치까지 들어가고 터치스크린으로 작동할 수 있게 기술개발이 끝나 있는 상태이다. 미국 라스베카스에 우선적으로 설치 운영이 될 계획이다.
세상을 놀라게 하는 자판기를 만들 수 있다.
이외에도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시장확대에 큰 관심을 보이는 분야는 자판기이다. 자판기도 얼마든지 협동로봇 RB5를 활용해 새로운 시스템의 자판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로봇이 운반을 해 내주는 것은 기본이고, 조리식품을 만들어 판매하게 할 수도 있다. 협동로봇이 운반판매부나 핵심 조리부 역할을 하고 결제부나 선택부를 만들어 매칭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면 세상에 없는 자판기가 된다. 통닭을 튀겨 파는 치킨자판기를 만들 수도 있고, 빵을 만들어 파는 제빵자판기, 아이스크림을 재미있게 집어서 내주는 아이스크림자판기도 구현해 내는 게 가능하다.
새로움을 어떤 가치와 결합을 시키느냐, 그리고 그것이 사업성이 있느냐가 상품화의 관건이다. 여기다 개발 비용과 제품 단가가 너무 높지 않아야 하는 게 대중성 확보의 관건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개발 수요만 있다면 어떤 협동로봇자판기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넘친다. SI업체와 연계하면 각 자판기 품목 특성에 맞는 세부적 기능을 얼마든지 구현해 낼 수가 있다. 이런 점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자판기 분야가 협동로봇을 활용한 제품화에 관심을 높여갔으면 하는 바램이 크다.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강화하는 상생의 비즈니스를 얼마든지 협력해 펼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제 필요한 것은 자판기 분야의 변화이다. 전통적인 자판기를 탈피해 세상을 놀라게 하는 자판기를 만들고 싶다면 레인보우로보틱스이 문을 두드리자. 진일보한 자판기의 세계를 활짝 펼치는 주인공이 될 수 있으니.
(주)레인보우로보틱스
042) 719-8051
발췌 : 계간 벤딩스토리 2019. 가을호
'자동판매기 > 자동판매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판기 운영에 대한 궁금증 Q&A (0) | 2020.02.08 |
---|---|
축산물자판기 관련법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0) | 2020.02.08 |
흥미진진한 무인유통 신트렌드의 경연 (0) | 2020.02.08 |
무인주문시스템의 발전 ② 일본과 한국의 자동판매기 역사 (0) | 2020.02.06 |
무인주문시스템의 발전 ① 세계 자동판매기 역사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