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앤아이스터디카페
- 언택트
- 멀티자판기
- 중소기업벤처부
- 무인시스템
- 스터디카페
- 무인독서실
- 독서실무인화
- 자판기 운영방법
- 자동판매기 운영업
- 벤딩인더스트리
- 피페이
- 티피오스전기이발기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무인점포
- P-PAY
- 휴대용ATM기
- 무인유통기기
- 음료자판기운영업
- 무인스터디카페
- 전기이발기
- 자동판매기 역사
- 무인결제시스템
- 자동판매기
- 키오스크
- 무인편의점
- 스터디카페창업
- 생계형적합업종
- 프랜차이즈창업박람회
- KOVA
- Today
- Total
eCHINGu
날개 단 간편결제 시장, 지갑 없는 시대 가속화 본문
일명 페이산업으로 일컬어지는 간편결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각종 규제로 수익성이 악화되는 카드산업은 골머리를 앓고 있는 반면, 간편 결제시장은 날개를 달고 비상 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동판매기, 자동서비스기 분야도 이러한 동향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현금을 넘어 카드결제를 가속화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소비자의 결제 패턴이 매우 빠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급성장하고 있는 간편 결제 시장 동향을 살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최근 모바일을 이용한 간편결제서비스의 급성장으로 지갑 없는 시대가 가속화되고 있다. 스마트폰 확산, 바이오 인증 확대, 관련업체들의 적극적인 시장 참여로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가 유통 전반에 적용 확산되고 있다.
산업연구원(KIET)이 내놓은 '국내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갑이 없어도 스마트폰만으로 계좌이체, 물건 구입, 음식 주문 등 기존의 신용카드 기능을 대체하는 모바일 결제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고연령층과 저소득층의 서비스 이용률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2017년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액은 39조9000억 원으로 평균 결제 건수는 212만4000 건을 기록했다. 2017년 2/4분기에는 약 363만 건이 간편결제로 결제되었다. 사용의 편의성으로 횟수와 금액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한편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2017년 9~11월 성인 25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최근 6개월 내 모바일 지급 서비스를 이용한 비율은 26.1%로 집계됐다. 20대가 53.6%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50.6%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40대 28.0%, 50대 8.5%, 60대 이상 2.1%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용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갑이 없어도 스마트폰만으로 계좌이체, 물건 구입, 음식 주문 등 기존의 신용카드 기능을 대체하는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대세인 가운데, 간편결제서비스 시장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규제 완화와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산업연구원(KIET)이 내놓은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간편결제 시장 동향을 살펴봤다.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의 특징과 배경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란 온.오프라인 환경에서 휴대폰, 테블릿 PC 등의 무선단말기를 이용해 결제하는 서비스이다. 웹 브라우저, 디바이스, OS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결제 가능하다. 현금은 물론이고 체크 및 신용카드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충분히 결제가 가능한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초고속 무선통신과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정부의 관련 산업 규제 완화도 배경이 되고 있다.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시장 현황
국내 출시된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는 약 39종에 이르지만,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상위권 업체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삼성페이는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갖다 대면 결제가 되는 높은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 앱만 있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네이버페이는 네이버 아이디 하나로 19만 여 개 온라인 가맹점에서 간편결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시장의 변화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기업들은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수집되는 소비형태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과 자사 플랫폼의 영역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간편결제서비스 제공 기업들은 서비스 자체를 통한 수익증대에만 목적을 두지 않는다. 자사의 결제시스템을 통해 얻은 고객의 취향, 소비패턴 등의 소비자 빅데이터를 이용해 보험,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네이버는 자사 검색 사이트를 통해 검색된 쇼핑몰(가맹점)과 음악, 영화, 웹툰 등의 자사 유료 서비스 이용시 고객의 네이버 아이디로 네이버 페이를 이용해 한 번에 결제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구축을 꾀하고 있다. 삼성페이 역시 유명 쇼핑몰들과의 연동을 통해 리워즈 서비스를 시작해 서비스 플랫폼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도 자사 서비스, 콘텐츠, 카카오페이 등을 하나의 비즈니스 플랫폼 안에 넣어 고객들이 플랫폼 안에서 지속적으로 머물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시장의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
연령층 및 소득층 간 이용 격차 개선이 필요하다. 노령층과 저소득층이 간편결제의 소외 계층으로 머물러 있어선 안된다. 간편결제서비스 관련법의 미비로 인해 피해사고 발생시 보호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아울러 간편 결제서비스 시장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규제 완화와 지원 강화책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도움> KIET 산업경제,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시장 현황과 시사점', 한국은행, '2017년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 및 시사점' 보고서
발췌 : 계간 벤딩스트리 2019. 봄호
'PAY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자 없어도 신용카드 매출을 올릴 수 있어 (0) | 2020.02.11 |
---|---|
PAYCO 결제시스템 소개 (0) | 2020.02.06 |
카카오페이 - 캐시백이 가능한 하이패스 교통카드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