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무인점포
- 독서실무인화
- 휴대용ATM기
- 스터디카페
- 자동판매기 운영업
- 무인스터디카페
- 무인유통기기
- KOVA
- 벤딩인더스트리
- 무인편의점
- 자동판매기 역사
- 무인시스템
- 자판기 운영방법
- 유앤아이스터디카페
- 중소기업벤처부
- 음료자판기운영업
- 자동판매기
- 무인결제시스템
- 키오스크
- 전기이발기
- 멀티자판기
- 티피오스전기이발기
- 피페이
- 스터디카페창업
- 언택트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P-PAY
- 생계형적합업종
- 무인독서실
- 프랜차이즈창업박람회
- Today
- Total
eCHINGu
베트남커피 본문
베트남커피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두산백과에 나와 있는 베트남 커피 자료를 참고해주세요.
[네이버 지식백과] 베트남 커피 [Vietnamese Coffee] (두산백과)
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 생산국이자 수출국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로부스타 생산국이기도 하다. 베트남 커피는 주로 인스턴트 커피로 활용되며, 버본(bourbon), 카투아이(catuai), 체리(Cherry), 위즐(weasel) 커피 등이 유명하다.
주요산지재배품종수확시기생산량등급분류대표커피
베트남 |
로부스타, 아라비카 |
10~2월 |
연간 약 160만 톤 내외 |
6등급 (결점두에 따른 분류) |
버본(bourbon), 카투아이(catuai), 체리(Cherry), 위즐(weasel) 커피
[네이버 지식백과] 베트남 커피 [Vietnamese Coffee] (두산백과) |
베트남 커피는 베트남의 주요한 수출 품목 중 하나로, 프랑스 식민 시절 영향을 받아 ‘까페(Cà phê)’라 불린다.
커피산업의 역사
코페아 아라비카 종 커피가 프랑스의 가톨릭 사제에 의해 1857년 베트남에 처음 유입되었다. 신선한 젖의 공급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인들과 베트남인들은 다크 로스트커피와 함께 달달한 응축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남부의 가톨릭 교회를 중심으로 재배되었다. 20세기 초반까지는 상업적인 의도 없이 재배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을 거쳐 통일 이후인 1975년부터 서부 산지 지역과 동남부 지역에서 본격적인 커피 개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생산·수출량을 높여갔으며 그 결과 1987년 이후부터 세계 커피 시장에 진출하였다. 이후 베트남은 가뭄이나 한파 등으로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의 생산량이 줄어들 때마다 저렴하고 안정적인 가격으로 커피를 공급하여 단기간 내에 세계적인 커피 수출국으로 거듭났다.
2016년 기준으로 베트남 커피 농장의 면적은 6,450㎢에 이르며, 연 평균 약 160만 톤의 커피가 생산된다. 이중 95%가 해외로 수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5분의 1에 해당한다. 실제로 한국에 수입되는 커피 물량의 40%가 베트남에서 온 것이다. 반면 베트남 내부에서는 생두 가공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외국에서 원두를 들여와 활용하고 있기도 한데, 베트남산업연구원(VIRAC)에 의하면 2016~2017년에 베트남으로 수입된 원두는 약 6만 톤에 이르며 이는 전년 대비 50% 이상 늘어난 수치이다. 이렇게 수입된 원두의 가격은 베트남에서 수출한 생두의 가격에 비해 2~3배 가량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베트남의 커피 사업은 오랫동안 정부 주도의 발전을 이루었으나, 일부 자율화가 이루어지면서 현재 다양한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대표적인 커피 브랜드로는 쭝응우엔(Trung Nguyen)과 하이랜드(Highlands)가 있다.
커피 품종
주로 재배되는 종은 로부스타로 원두가 단단하고 구수하면서 쌉쌀한 맛이 강한 편이다. 로부스타와 함께 많이 경작되는 것은 아라비카 종으로 카티모르(catimor), 티피카(typica), 버본(bourbon), 카투아이(catuai) 등이 대표적이다. 로스팅 과정에서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종을 혼합한 체리(Cherry), 족제비(Weasel)의 배설물에서 골라낸 커피 원두인 위즐 커피(weasel coffee)도 유명하다.
재배지역
베트남 커피는 해발고도 800m 이하의 낮은 고도에서 재배된다. 베트남 내에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가진 지역은 중부 고원지대에 위치한 부온마투옷이며 그밖에 서부 산간지역인 닥락(Dak lak), 잘라이(Gia lai), 꼰뚬(Kon tum), 북부에 위치한 까우닷(Cau Dat) 등이 있다. 원두는 일반적으로 자연건조식(dry processing)으로 가공되며 수세식(wet processing)과 폴리싱(polishing; 깨끗이 닦아 광택처리한 작업)으로도 진행된다. 커피의 품질 등급은 생두 300g당 결점두의 개수에 따라 스페셜 등급을 포함하여 총 6등급으로 구분하는데, 결점두(defect)는 생두의 재배나 가공 과정에서 생긴 비정상적인 생두로, 결점두가 적을수록 좋은 품질의 생두로 여겨진다.
베트남식 커피 음용법
베트남에서는 커피를 우려낼 때 필터가 아닌, 카페 핀(cafe fin)이라 불리는 미세한 구멍이 난 용기를 사용한다. 카페 핀에 원두를 첨가하여 뜨거운 물을 부어 우려내는 방식을 취하는데, 1시간 이상 천천히 우려내기 때문에 깊고 진하며 쓴 맛이 강해진다. 추출한 커피에는 뜨거운 물이나 얼음을 넣어 마시거나, 설탕 대신 진하고 단맛이 강한 연유를 첨가하여 마신다. 이때 ‘카페농(Ca Phe Nong)’이라 하면 뜨거운 커피, ‘카페다(Ca Phe Da)’라 하면 아이스 커피, ‘카페쓰어농(Ca Phe Sua Nong)’이라 하면 뜨거운 밀크커피, ‘카페쓰어다(Ca Phe Sua Da)’라 하면 아이스 밀크커피를 뜻한다. 이외에도 커피에는 달걀 노른자, 코코넛, 요커트, 아보카도, 옥수수 등의 다양한 재료가 첨가되곤 한다. 베트남에서는 아침에 커피를 마시는 문화가 자리 잡혀 있으며, 일반 생두의 경우 값이 저렴하여 일상적으로 마시는 음료이다.
베트남 현지커피의 맛은 역시 베트남에서 생산된 커피와 연유를 통해야 되겠습니다. 베트남 커피는 베트남에서 생산된 커피원두를 가공하여 '에스프레소' 베트남커피 원액을 내려받게 됩니다.
카페쓰어다는 커피핀에서 내려받은 '에스프레소' 베트남커피 원액을 '스프레이드라이'방식으로 구현한 제품입니다. 이츠이츠 카페쓰어다는 물이나 우유에 커피와 베트남 연유를 넣어 1회용으로 손쉽게 맛을 볼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차 문화가 발달한 베트남 사람들은 연유에 무척 까다롭습니다. 이츠이츠는 베트남 국민들의 선호도 1위 브랜드인 네덜란드 '더치레이디'의 연유를 사용합니다. 더치레이디 연유는 로브스타 원두의 구수하고 씁쓸한 맛에 달달한 맛과 크리미한 풍미까지 더해줘 카페쓰어다의 맛을 한층 더 끌어올렸습니다. 이제 기존 캔 형태의 불편함을 탈피해 언제 어디서나 휴대할 수 있는 파우치로 만나보세요.
최고급 아라비카 원두와 베트남 생산 로부스타 블렌딩의 조화로 새롭게 태어나 커피가 이츠이츠 아이스커피 '카페다'입니다. 이츠이츠는 베트남의 커피문화와 한국인의 아메리카노 문화를 존중하여 '베트남 아라비카 + 로부스타'를 블렌딩하여 카페다 제품을 새롭게 개발하였습니다.
부드러운 아라비카 그리고 잔하고 쓰디 쓴 로부스타의 블렌딩으로 이에 손쉽게 나만의 홈카페에서 베트남 아메리카노를 즐겨보세요!
베트남 커피
이츠이츠 카페쓰어다, 카페다와 연유를 자세히 알 수 있는 페이지는 스마트스토어 이친구 (eCHINGu)
이친구 (eCHINGu)
'쇼핑몰 신상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한시 국제접십자회에 지원한 식물성살균제(크린균) (0) | 2020.03.11 |
---|---|
전동칫솔 (0) | 2020.03.09 |
남성의 필수품 전기면도기 고르는 법 (0) | 2020.03.06 |
졸음운전방지 위한 졸음운전경보기 (0) | 2020.03.06 |
1회용 센스마스크 (청결한 사업장, 편안한 호흡) (0) | 2020.03.05 |